- 1,473억원 투자, 모노레일 등 차별화된 공간으로 연간 40만명 방문 목표 -
산림청(청장 임상섭)은 기후 및 지방소멸 위기 대응을 위해 전라남도 완도군에 조성 중인 국립난대수목원에 대한 기본설계 현장토론회를 개최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날 토론회에는 전라남도, 완도군 등 16명이 참석해 국립난대수목원의 기본 설계 방향, 모노레일 구간 및 레이크가든센터 등 주요시설 대상지에 대한 현장점검과 식물자원 계약 재배, 인력 채용 등 지역 상생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산림청은 제5차 수목원 진흥기본계획에 따른 기후 및 식생대별 국립수목원 확충의 일환으로, 국립세종수목원, 국립새만금수목원에 이어 국립난대수목원을 전라남도 완도군 군외면에 위치한 완도수목원 부지에 373헥타르(ha) 면적으로 총 1,473억 원을 투자해 2030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지난 2022년 국가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해 2023년 기본계획을 완료했다. 지난해부터 기본설계를 시작해 내년 조기 착공을 할 예정이다.
한편, 완도군은 청년층의 이탈 등으로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돼 한국고용정보원 발표 지방소멸위기 지수 0.17의 소멸위험지역으로 국가 인구감소지역 89개 지방자치단체 중 하나로 지정되어 있다.
* (완도군 인구) '15년) 53,014명 → '20년) 49,916명 → '24년) 45,631명 → '25년 상반기) 45,108명
산림청은 이러한 위기를 지역과 함께 이겨내기 위해 양질의 일자리 제공, 타 지역과 차별화된 콘텐츠 및 시설 조성을 통해 연간 40만 명의 관람객이 완도를 찾도록 해 고용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박영환 산림청 수목원조성사업단장은 "순천만국가정원을 통해 산림자원이 관광객 유치와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 검증됐다."며, "국립난대수목원을 지역경제를 견인할 수 있는 서남해안권역 대표 명소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