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주거 등 개인별 수요 맞춤형
주민센터 창구 통해 원스톱 제공
서울 성동구는 초고령사회에 대비해 어르신들이 주거지에서 건강한 노후를 보낼 수 있는 ‘성동형 어르신 통합돌봄’ 지원 체계를 구축 중이다.
성동형 어르신 통합돌봄의 비전은 ‘살고 있는 집에서 건강한 노후’(Healthy Aging in Place)를 실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보건 의료, 건강 관리, 주거 등 다양한 영역의 돌봄 서비스를 개인별 수요에 따라 맞춤형으로 통합 지원한다.
앞서 구는 지난 3월 ‘통합돌봄담당관’을 신설했고 구청 내 돌봄 관련 11개 부서가 참여하는 ‘통합돌봄추진단’과 27개 민간 기관이 참여하는 ‘돌봄통합지원협의체’를 구성했다.
지난 4월부터는 주민들이 가까운 곳에서 다양한 분야의 통합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통합돌봄 전담창구’ 운영을 시작했다. 한 번의 상담만으로 재택의료센터 등 보건 의료, 고혈압·당뇨병·치매 등 건강 관리부터 방문 간호 및 주야간 보호 등의 요양, 가사 등 일상생활 지원, 집 수리 및 낙상 방지를 위한 주거 개선 등 주거 분야에 이르기까지 통합 지원을 받을 수 있다.
17개 동 주민센터에 설치된 ‘통합돌봄 지원창구’는 대상자를 발굴하고 상담, 신청, 연계 등을 원스톱으로 제공한다. 또 복지관 및 보건 의료 기관 28곳은 ‘통합돌봄 안내창구’를 통해 대상자를 조기에 발견하고 선별 조사를 거쳐 맞춤형 복지 서비스를 연계한다.
어르신 통합돌봄을 위해 구는 ▲어르신 낙상 방지 주거 개선 사업 ▲어르신 낙상 방지 홈케어 ▲스마트헬스케어센터 운영 ▲성동케어팜 ▲가드닝 사업 ▲마음 치유 피크닉 등도 운영 중이다.
유규상 기자
2025-07-17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