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전국 석재로 ‘감사의빛 22’ 조성
지하에는 우방국과 소통 상징공간
100m 태극기 게양대는 설치안 해
서울시가 광화문광장에 6·25 전쟁 참전국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담은 22개의 화강암 돌보를 세운 ‘감사의 정원’을 조성한다. 지난해 오세훈 서울시장이 100m 태극기 게양대를 거론해 논란이 됐지만 첨단기술을 활용해 태극기 등 22개 나라의 국기를 전시하는 것으로 선회했다.
오 시장은 이날 시청에서 ‘세종로공원 및 상징조형물 설계 공모’ 시상식을 열고 이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오 시장은 “22개의 조형물과 빛 기둥은 참전국의 숭고한 희생을 상징한다”며 “의장대 사열을 모티브로 삼았다”고 설명했다. ‘감사의빛 22’는 참전국에서 채굴된 석재를 들여올 예정이다.
조형물 상단에는 디지털 영상 기술을 활용해 태극기 등 여러 이미지를 형상화한다. 지하에는 우방국과 실시간 소통이 가능한 상징공간이 들어선다.
세종로공원은 밀도 높은 도심 숲으로 조성된다. 휴게, 식음시설까지 갖춘다. 혹서나 혹한에 구애받지 않고 사계절 활용이 가능한 광장으로 꾸민다는 계획이다. 특히 지하공간은 광화문역에서 KT빌딩, 세종문화회관 지하까지 연결될 예정이다.
앞서 오 시장은 지난해 6월 25일 참전용사들을 만나 광화문에 100m 태극기 게양대를 설치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해 주변경관과 맞지 않고 국가주의적 접근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이후 국민 의견 수렴을 거쳐 6·25 참전용사를 기리기 위한 설계 공모에 나섰다.
이번 설계 공모에는 모두 31개 작품이 접수됐다. 심사위원회를 통해 ‘삶것건축사사무소, 프라우드건축사사무소, 엘피스케이프’ 공동응모 작품이 최종 선정됐다. 신춘규 심사위원장은 “폐쇄된 옛 주차 경사로를 활용한 지하공간과 상징 조형물의 입체적 연계가 탁월하다”고 했다.
이날 시상식에는 6·25 참전용사 10명이 참가해 전쟁의 참상을 증언한 책 ‘내가 나라를 지켰다’를 오 시장에게 전달했다. ‘유엔 참전용사들의 손녀’라는 별명으로 활동 중인 캠벨 에이시아가 사회자로 나섰다.
시는 4일 한국전쟁 참전 22개국 주한외교단을 초청해 감사의 정원 조성 사업 설명회를 연다. 석재 확보와 지하공간 미디어월 운영 방안에 대해 협조를 구한다는 계획이다.
서유미 기자
2025-02-04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