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홍역 유행 지속, 해외여행 전 예방접종! 여행 후 발열, 발진 있으면 홍역 의심하고 진료!
- 2025년 4월 5일 기준 국내 총 35명 홍역 환자 발생, 이 중 해외유입 사례 23명(65.7%), 해외유입 관련 사례 12명(34.3%)
- 환자 중 백신 미접종자 37.1%(13명) 또는 모름 28.6%(10명), 19세 이상 71.4%(25명)
- 해외여행 전 백신 접종 후 출국, 해외여행 후 발열 동반 기침, 콧물, 결막염, 발진 등 증상이 있는 경우 홍역 의심 진료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전 세계적으로 홍역이 크게 유행하고 있어, 해외여행을 계획 중인 국민은 홍역 유행 국가 확인 후 출국 전 예방접종을 완료할 것과, 의료기관은 최근 홍역 유행 국가 여행력이 있는 환자 진료 시 홍역을 의심하고 확인 시 신속하게 신고할 것을 다시 한번 당부하였다.
[국내 홍역 발생 상황]
올해 국내 홍역 환자는 14주까지(~4.5.) 총 35명이 발생하였으며, 이는 작년 동기간 18명 발생한 것과 비교해 1.9배 증가한 수치이다. '25년 환자 중 71.4%(25명/35명)는 19세 이상 성인이고, 65.7%(23명/35명)는 홍역 백신 접종력이 없거나 모르는 경우였다(표1 참고).
그림 1. '20~'25년 4월 5일 월별 홍역 환자 발생 현황 그래프
연령대 |
접종력 |
||||
계 |
미접종 |
모름 |
1회 |
2회 |
|
계 |
35 (100.0) |
13 (37.1) |
10 (28.6) |
1 (2.9) |
11 (31.4) |
0세 |
6 (17.1) |
6 |
- |
- |
- |
1-6세 |
3 (8.6) |
3 |
- |
- |
- |
7-18세 |
1 (2.9) |
1 |
- |
- |
- |
19세 이상 |
25 (71.4) |
3 |
10* |
1 |
11 |
특히 면역체계가 취약한 1세 미만 영유아는 홍역에 감염되면 폐렴, 중이염, 뇌염 등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때문에 감염에 유의하기 위해 홍역 유행 국가 방문을 최대한 자제하고, 방문이 불가피하다면 반드시 출국 전에 홍역 예방접종(생후 6~11개월)*을 받을 것을 적극 권고한다.
* 예방접종 후 방어면역 형성까지의 기간(보통 2주)을 고려해 출국 전 예방접종 필요
연령 |
과거 접종력 |
안내 사항(국가예방접종 비용지원 대상) |
||
시기 |
횟수 |
내용 |
||
6개월 ~11개월 |
- |
출국 최소 2주 전 |
1회 |
이후 생후 12~15개월, 4~6세에 표준접종도 받아야 함 |
12개월 ~12세 |
접종력 없음/모름 |
출국 최소 2주 전 |
1회 |
이후 4~6세에 표준접종도 받아야 함 |
1회 |
출국 최소 2주 전 |
1회 |
이전 접종력과 최소 4주 이상 간격을 둬야 함 |
|
2회 |
접종 불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