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함지산 나흘 만에 완전 진화
도시형 산불, 정부 차원 대책 시급
산과 주택 사이 ‘내화수림대’ 조성
산불 진화 ‘고정익 항공기’ 도입을
23시간 만에 진화됐다가 잔불 정리 중 재발화해 확산했던 대구 북구 함지산 산불이 다시 진화 완료된 가운데 1일 소방헬기가 잔불 정리 및 뒷불 대비 작업을 하고 있다. 대구 연합뉴스 |
23시간 만에 큰 불길을 잡았던 대구 함지산 산불이 재발화와 진화를 거듭한 끝에 나흘 만에 완전히 꺼졌다.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아파트 밀집지역인 도심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하면서 혼란이 잇따라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산림 당국은 1일 오전 8시를 기해 함지산 산불 완전 진화를 선언하고 뒷불 감시 체제로 전환했다고 밝혔다. 함지산에선 지난달 28일 오후 2시 1분쯤 불길이 시작돼 약 23시간 만인 이튿날 오후 1시쯤 주불이 모두 꺼졌다. 하지만, 6시간 뒤인 29일 오후 7시 31분쯤부터 잔불이 되살아나면서 사그라들었다 확산하기를 반복했다. 이 과정에서 소방청이 국가 소방동원령을 두 차례 발령하기도 했다.
나흘간 이어진 이번 산불영향구역은 주불 진화 때인 260㏊보다 50㏊ 늘어난 310㏊로 잠정 집계됐다. 뒷불 감시 체제로 전환되면서 관계 당국은 잔불을 정리하고 있다. 산림 당국 관계자는 “수일간 불에 탄 낙엽과 나뭇가지 등이 숯처럼 변해서 열이 차오른 상태”라며 “비가 오더라도 낙엽이 흠뻑 젖기 전까지는 재발화할 수도 있는 상황이라 뒷불 감시를 철저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산불이 민가 인근으로 확산하면서 소방당국은 인명 피해를 막기 위한 방화선 구축에 총력을 기울였다. 소방당국 관계자는 “국가 소방동원령을 내려 가용 자원을 총동원한 게 주효했다”며 “해가 지기 전 최대한 불을 끄고 야간에는 민가 주변 방화선 구축에 힘썼다. 지자체 등의 선제적인 대피 명령도 인명피해를 막는 데 큰 역할을 했다”고 했다.
함지산 산불이 인구 밀집 지역에서 발생하면서 도시형 산불에 대한 정부 차원의 연구와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고기연 한국산불학회장은 “해외에서는 이런 화재를 ‘산림·도시 복합 화재’(WUI)라고 부르는데 국내에는 관련 대비 체계가 없다”며 “관계 당국은 도심에 산불이 났을 때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책 마련을 위한 연구와 훈련을 적극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구 민경석 기자
2025-05-02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