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단체장과 의회다수당이 달라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가 지난 4일 막을 내린 가운데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경기·강원·충남·충북 지역이 기초단체장·광역의원과의 ‘불편한 동거’를 시작하게 됐다. 네 곳 모두 광역단체장이 다른 정당 소속 기초단체장·광역의원들로 둘러싸여 고립된 모양새다. 2010년 오세훈 한나라당 서울시장이 시의회 전체 106개 의석 중 78석을 차지한 민주당과 한강르네상스 사업, 무상급식 등을 놓고 극한 대결을 벌인 사례가 재현될 수 있는 상황이다.
|
기초단체장에서 충남은 새누리당 9곳, 새정치연합 5곳이 승리했고 충북은 새누리당 6곳, 새정치연합은 3곳에서 이겼다. 도의회 역시 충북(새누리당 19곳, 새정치연합 9곳), 충남(새누리당 28곳, 새정치연합 8곳)에서 같은 양상을 보여 여소야대를 이뤘다. 안 당선인은 지난 민선 5기 때도 도의회 36석(비례대표 불포함) 가운데 자유선진당이 약 50%를 차지해 2011년 의원재량사업비(숙원 사업비)를 놓고 힘겨루기를 한 적이 있어 이번엔 어떤 카드를 꺼내들지 관심이 모인다.
강원은 여소야대가 더 심하다. 강원지사는 새정치연합 소속 최문순 지사가 재선됐지만 기초단체장은 총 18석 가운데 무소속 2곳, 새정치연합 1곳 등 3곳을 제외한 나머지에서 전부 새누리당이 당선됐다.
광역의원 역시 새정치연합 4곳, 무소속 2곳을 제외한 34곳에서 새누리당이 당선자를 냈다. 최 지사 측 관계자는 “강원도는 항상 새누리당이 대부분 당선돼 왔다”며 ‘적과의 동침’을 애써 담담히 받아들였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시·도지사와 의회 다수 의원의 소속 정당이 다르면 일을 제대로 추진할 수 없다고 볼 수도 있겠지만 초록동색(草綠同色)이면 오히려 골치 아픈 부분이 많다”면서 “항상 견제를 통해 균형을 잡아 줘야 한쪽이 횡포를 부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긍정적인 측면을 강조했다.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